top of page

코리안 디아스포라, 121년의 사랑

미주 한인 이민사를 돌아보며

'1903년, 한 무리의 한국인들이 제물포항을 떠나 하와이에 도착한지 121년이 되었습니다.'

학습 목표

한민족 이민사 속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역사적 순간들을 영상으로 접하며, 그들의 노력과 업적이 오늘날 우리 사회와 개인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생각해봅니다.

요약

미주 한인 이민의 역사는 용기와 사랑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프라노

조수미는 ‘Water is Wide’를 통해 혼자는 건널 수 없지만 여럿이 힘을 합해 나아가는 항해의 아름다움을 노래합니다.

AdobeStock_177793744_edited.jpg

평범한 사람들의 사랑이 이룬 역사

1902년 12월, 제국주의 러시아와 일본의 침탈로 고통받던 조선 정부는 새로운 희망을 찾아 하와이로 첫 공식 이민을 시작했습니다. 조국을 떠난 지 22일 만인 1903년 1월, 먼 이국 땅 하와이에 발을 디딘 우리 조상들의 용기와 희생은 122년의 세월을 넘어 오늘날 전 세계에 한국 문화의 찬란한 빛을 전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걸음 하나하나가 오늘 우리의 자부심이 되었습니다.

  • 문대양, 한국계 최초 주 대법원장 당선

  • 플로렌스 안, 동양인 최초 줄리아드 음대 입학

  • 해리 김, 한국계 최초 미주 시장 당선

  • 새미 리, 아시아계 최초 올림픽 다이빙 종목에서 금메달 획득

  • 캐런 안, 한국 여성 최초 주 판사

  • 실비아 장 룩, 한인 최초 부지사

  • 엘리자베스 안 투핀, 터프츠 대학교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 학장

  • 노디 김, 하와이 최초의 여성 교장

  • 미셸 위, LPGA 투어 역사상 최연소 컷 통과 기록 수립

  •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센터, 1972년 해외 최초, 최대의 한국학 연구 기관 설립

  • 호놀룰루 키오모쿠가에 위치한 코리아타운이 하와이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습니다

45.png

토론 주제

  • 이민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왜 중요한가요?

  • 조상들의 희생과 업적을 기리는 방법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 오늘날 재외동포의 수는 750만 명에 이릅니다. 특히 이민 3세대, 4세대가 한국을 방문하지 않고도 한국 문화와 역사를 어떻게 계승할 수 있을까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2022)

감독 다니엘 콴, 다니엘 샤이너트

558468_780683_2132.jpg

홍콩에서 미국으로 이민 와 빨래방을 운영하는 이민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미국 생활과 영어에 완벽하게 익숙지는 않아서 세무 당국에 쪼이고, 외면은 동양인인데 내면은 서양인에 가까워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는 딸은 딸대로 속을 썩이는 상황을 독특한 시각과 기법으로 제시한다.

10회차 수업을 마치며, 이민자의 경험을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는 책 & 영화 추천 리스트를 제공합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의 이민 역사를 살펴보면서 그 속에 담긴 사람들의 용기와 희망을 찾아보세요.

여러분의 생각의 폭을 넓히고, 의미 있는 토론으로 이어나갈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도서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

저자 차인표

일제강점기 당시 고향을 떠나 새 땅에서 아픔을 겪었던 이들이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로, 용서와 화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책을 통해 이민자의 내면적 갈등을 깊이 탐구할 수 있습니다.

검은 꽃
저자 김영하

한국에서 멕시코로 이주한 한인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이민자들의 삶과 정체성에 대해 탐구합니다.

Content Rating: Age 15+

H 마트에서 울다

저자 미셸 자우너

한국계 미국인 작가 미셸 자우너의 회고록으로, 한국계 미국인 여성인 저자가 어머니의 죽음을 겪으며 느낀 감정과 경험을 풀어냅니다. 음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어머니와의 관계, 이민자의 삶, 그리고 그 안에서 찾은 회복력과 희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역사의 쓸모 & 다시, 역사의 쓸모

저자 최태성

영화 ‘하와이 연가”의 감수, 자문을 담당한 최태성 작가의 저서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역사적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과 의미를 현대적 관점에서 풀어낸다. 1900년대 미주 이민이 시작된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고 큰 틀에서 이민 역사를 바라보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채식주의자

저자 한강

개인적인 정체성과 사회적 기대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이민 사회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전통과 규범에 얽힌 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압박을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이민자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문화적 충돌을 경험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을 빗대어 볼 수 있습니다.

9791191061048.jpg
9788954610131.jpg
9788954683371.jpg
Screenshot 2025-03-03 at 오후 6.37.56.png
9788936433598.jpg

영화

Content Rating: Age 15+

영웅 (2022)

감독 윤제균

이 영화는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인 안중근의 생애를 다룹니다. 일본 식민지 시기에 나라와 민족을 위한 희생과 자아 정체성을 찾으려는 투쟁을 중심으로, 민족과 개인의 정체성을 극복하고 희망을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가 이민자와 디아스포라의 경험과도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기생충 (2019)

감독 봉준호

빈부격차와 사회적 계층의 문제를 다룬 이 영화는 이민자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장벽과 갈등을 간접적으로 탐구할 수 있습니다.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곡성 (2016)

감독 나홍진

마을에 온 외부인으로 인해 벌어지는 미스터리와 사건을 다룬 영화로, 외부인에 대한 두려움과 미신,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이민자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크로싱 (2008)

감독 김태균

북한을 탈출하려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이 영화는 북한과 그 이민자들의 고통과 꿈을 다루며, 통일과 이민자들의 인권 문제를 진지하게 탐구합니다.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파이란 (2001)

감독 송해성

한국에서 불법 체류 중인 중국 동포 여성이 기회와 사랑을 찾으려는

이야기로, 이민자의 삶의 아픔과 고난을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입니다.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이민자의 어려움과 그들의 내면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ePCTBHDzqskntiM7qAUy0AZBxFcaiXsJ7RYv_6WCxZPsXGeSjt47OfK7qkywznsIDitQzqxmx4BB3o_HL4gT_A.web
4fXGcnpr8CS5f2l3jE2Z-Q.jpg
vi--NapHd-CxzD0GOPFyE_CCm0zUkVy0RsqTAl4GofU9jIgvKaACEk9tirfA8s5eDozOX7PGYImcMKzMeSHNyA.web
크로싱_포스터-1.jpg
N1EDsJ9SB5a7niRV3-TR_w.jpg

뉴스레터 구독하기

문의 및 제휴

나우 프로덕션은 여러분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습니다. 

상영/강연 신청, 협업 제안, 또는 그저 나누고 싶은 이야기라도, 편히 해주세요.

이틀 내로 회신 드리겠습니다.

logo.png
location-pin.png
envelope.png

HAWAIʻI : Honolulu, Hawaiʻi, 96814

KOREA : 서초구 반포대로 5길 65 102-203

E-mailnowhawaiipr@gmail.com

Official site : therainbowwords.com

©2024 by By Now Production Films
WEBSITE DESIGN by M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