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의 놋그릇
사진신부 '임옥순'의 여정
"그래도 꼭 쓰고 싶으면 할머니 기쁨에 대해서 써… 내 손주들이 어릴 때 할머니가 불러주는 노래를 들으면서 곤히 잠든 모습을 지켜보는 행복에 대해서 써주렴.."
요약
옴니버스 음악영화 <하와이 연가> 속 두 번째 이야기, ‘임옥순’ 의 실화 스토리를 통해 이민 여성의 삶과 헌신을 감동적으로 조명한다.
임옥순의 친손자인 게리 박 작가는 <무지개 나라의 유산> 인터뷰 시리즈에서 조명한 인물로 2교시 수업에서 다룬 바 있다. 이진영 감독은 당시 게리 박 작가와의 대화에서 깊은 감동을 받고 다음 작품에 대한 영감을 얻었으며 이는 3년 후 <하와이 연가>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8교시의 뮤지션 - 리처드 용재 오닐
비올리스트

-
세계적인 한국인 연주가로 그래미상 수상
-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인 어머니와 아일랜드계 조부모 사이에서 자람
-
줄리어드대 졸업 후 2000년 로스앤젤레스 필하 모닉 협연으로 데뷔
“이 땅에서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을까요? 그 이야기들이 생명력을 잃지 않도록 기록하고 나누는 것은 우리들의 책임입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현재는 우리 이전에 이곳에 살았던 분들이 이루어주신 삶이니까요.
게리 박 작가님이 선조들의 이야기를 기억함으로써 이야기의 생명력을
이어 가는 모습이 정말 멋집니다.”

'사진신부' 란?
많은 사진신부*들은 가난한 가정 출신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고아들이었으나, 하와이에서 고등교육의 기회를 찾기 위해 사진신부가 된 신여성도 있었습니다. 한국을 떠나면 효도와 같은 전통적인 결혼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여성들도 있었습니다. 그들의 출신과 배경에 상관없이, 그들 모두 더 나은 삶을 열망하며 하와이로 오기로 결심하였습니다.
남편이 될 남성들이 먼저 자신의 사진을 한국으로 보내 신부의 선택을 기다렸습니다. 여성들은 사진들 중에서 자신의 남편을 선택했고, 그에 대한 답례로 자신의 사진을 보냈습니다. 그 당시 대부분의 여성들은 가족이 주선한 중매결혼을 했고, 신랑감 선택에 있어서 거의 발언권이 없었기 때문에, 여성이 신랑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중대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사진신부이 자신의 배우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것이 그들에게 큰 자율성과 해방감을 느끼게 했습니다.
역사적 배경
1. 사진신부와 그들의 신랑들은 몇살이었나요?
그 당시 여성의 결혼적령기는 15세에서 20세 사이였기에 대부분의 사진신부들은 10대였습니다. 평균적으로, 신부들과 신랑들은 15살 정도 차이났습니다.
2. 하와이로 가는 여정은 어땠나요?
배를 타는 것은 매우 고된 일이었습니다. 신랑들이 사진신부들의 하와이 배삯을 지원했지만, 신부들은 삼등실에 배정되었습니다. 삼등실은 원래 동물을 위한 공간이었기에 여성들이 기거하기에는 너무 답답하고 부적절한 생활 환경이었습니다. 하지만 신부들은 신선한 공기를 마시기 위해 갑판 위로 올라가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었기에 몇몇 사진신부는 배에서 살아나가지 못했습니다.
3. 더 나은 삶을 바라고 하와이로 온 사진신부들을 기다린 현실은 무엇이었을까요?
남자들은 사진신부에게 보내기 위해 빌려 입은 정장을 입고 사치품인 자동차와 큰 집 앞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사진신부들은 사진 속에 보여지는 것과 비슷한 집에서 살게될 것을 기대했지만, 실상은 농장 옆에 마련된 좁은 집에서 고립되어 살았습니다. 신랑과 사진 혼인 중매자들이 사진신부에게 솔직하지 못했던 것은 여성들이 하와이의 냉혹한 현실을 알 경우 오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습니다.
어떤 여성들은 신랑감에 매우 불만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가는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현실을 받아들이고 하와이에서 새로운 삶을 살 수 밖에 없었습니다.
4. 사진신부는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했을까요?
많은 사진신부들이 교회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서로를 지원하는 공동체를 형성했습니다.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매우 적극적이고 결단력이 있었습니다. 가난을 극복하고 자녀들을 잘 부양하기 위해 부단히 일했습니다. 나아가 여러 모임을 결성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자식을 교육하고 조국의 독립 기금을 마련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토론 주제
-
공동체의 형성은 사진신부가 어려운 삶을 극복하는 데에 어떻게 기여하였을까요?
-
아이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수 없었을 때 배고픈 아이들을 바라보며 임옥순이 경험했을 감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임옥순은 손자들이 멋지게 장성하여 주류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을 보면서 어떤 감정을 느꼈을까요?
-
여러분이라면 가족이 일본군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
혹독한 현실과 신랑의 사진과 실제 신랑의 괴리감 외에도 사진신부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었을지 생각해보세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알로하, 나의 엄마들 (2020)
저자 이금이

사진신부가 되어 하와이로 떠난 여성들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사진신부라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이민자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중요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