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향한 투쟁
바이올리니스트 마이클 림
"진정한 부는 다른 사람을 돕고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누는 것이라는 사실을 조부님을 통해 배웠어요."
학습 목표
마이클 림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계 미국인들이 일제 강점기에 해외에서 그들의 활동, 자유를 위한 투쟁을 이해하고, 한국계 미국인 커뮤니티가 사회에 미친 영향을 배웁니다. 이들의 삶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요약
하와이 심포니 바이올리니스트인 '마이클림' 의 증조부모를 알아봅니다.
증손자의 시선에서 이 용감한 부부의 삶과 그들이 한인 사회에 남긴 유산을 살펴봅니다

마이클 림 (Michael Lim)은 누구인가
마이클 림은 아름다운 음악으로 소통하는 음악가입니다. 마이클 림은 하와이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학교에서 음악 교사로도 일하고 있습니다.
그는 조금 남다른 증조할아버지 할머니를 가졌습니다. 26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와 70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고국의 독립 운동과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의 권익 신장에 모든 것을 바친 안원규, 그리고 남편 못지않은 용기와 기개가 넘쳤던 여성리더 안정송. 마이클 림은 하와이 이민사는 물론이고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떠난 독립운동가 부부의 4대손입니다.
역사적 배경
1. 2003년, 하와이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며 기념사업회에서 선정한 자랑스러운 한인 27명 중 세 명이 마이클 림의 선조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왜 선정되었을까요?
마이클 림의 증조부인 안원규는 원래 농장 노동자로 하와이에 왔습니다. 그는 후에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고, 국민회를 설립했습니다. 조국의 독립 운동을 위한 돈을 모금하였고, 하와이에 이민온 많은 한인 이민자들을 도왔습니다.
마이클 림의 증조할머니 안정송은 하와이 한인 커뮤니티를 위해 많은 일을 했습니다. 교사로도 일하면서 하와이 한인 사회를 위해 힘썼습니다.
마이클 림의 아버지의 친할아버지인 증조부 임춘호 역시 원래 농장에서 일을 하기 위해 하와이에 왔지만 이후 목사가 되었습니다. 한인 농장 근로자들에게 더 나은 근무환경을 만들어주려고 하셨고, 하와이에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2. 마이클 림의 증조부모가 지지한 한국 독립 운동은 무엇이었나요?
한국 독립 운동은 일본의 통치로부터 한국을 광복시키기 위한 외교적 활동과 무장 투쟁이었습니다. 이는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었고 1945년 일본이 항복하는 날까지 이어졌습니다.
3.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은 왜 자녀 교육에 헌신했을까요?
한인들의 하와이 이민은 1905년 6월에 중단되었습니다. 그 직후 한국은 1905년 을사늑약에 서명하도록 강요 받았고 일본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습니다.*한인 이민자들은 백성이 무지했기에 나라를 잃게되었다 느꼈고, 그래서 교육을 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1905년에 한국의 외교 주권이 박탈되었고, 1910년에 일본은 한국을 강제로 병합하였습니다.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의 첫 학교인 알리이올라니 초등학교는 이민 3년 만인 19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한인들의 기부금과 감리교단에 의해 설립된 이 학교는 다음해 이승만 박사가 설립하는 '한인 기독학원'으로 발전했습니다. 교육은 고국을 되찾는 열쇠였습니다. 이민자들은 곧이어 십시일반 돈을 모아 한글학교를 세워 자녀들의 국어교육에도 힘썼습니다.
토론 주제
-
마이클 림 가족의 역사에서 교육은 왜 중요했을까요?
-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장기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것 등 기부금은 하와이 한인 사회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
한 국가가 독립을 이루기 위해 개인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할까요? 하와이 한인 이민자의 사례를 활용하여 개인의 활동과 기여가 국가 독립 운동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논의해보세요.
-
당신은 행복을 얻는 것이 물질적인 부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는 것에 동의하나요? 물질주의를 넘어서는 어떤 요소들이 사람의 성취감과 행복감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논의해보세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Reading Level: College - level
태극기를 휘날리다 (2014)
저자 강이경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역사를 알리는데 활약하고 있는 서경덕 교수의 활동을 통해 디아스포라가 역사와 정체성을 어떻게 이어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