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한인 이민 역사의 시작
제물포에서 하와이로
하와이 하면 뭐가 제일 먼저 떠오르나요?
이제, 진짜 하와이를 만나 보세요!
학습 목표
1903년, 하와이에 도착한 최초의 한국 이민자 그룹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이 재미 한국인으로서 역사의 밑거름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이해합니다.
요약
20대 초반 하와이로 이민 간 이진영 감독은 기자로 일하면서 하와이 한인들의 감동적인 역사를 접하게 됩니다. 1903년 1월 13일 102명의 한인이 하와이에 도착하여 한인의 미주 이민이 시작되었습니다. 1905년 공식 이민이 중단될 때까지, 이민자들은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분투하면서도 고국의 독립운동에 힘을 보탰습니다. 특히 당시 여성들의 활약은 실로 놀라웠습니다. 초기 한인 이민 역사를 기억하고 있는 후손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진영 감독은 역사를 기록하기로 다짐합니다.

하와이 관련 정보
하와이 공식 별명은 '무지개 주'입니다. 다문화, 다민족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인종도 전체 인구의 1/4을 넘지 않습니다.

역사적 배경
1. 하와이로 온 최초의 한국인 이민자들은 누구였을까요? 그리고 그들은 왜 하와이로 왔을까요?
1830년 하와이에서 사탕수수 산업이 성황을 이루면서 농장주들은 세계 각국에서 노동자들을 모집했습니다. 가난하고 척박했던 조선 땅에서도 100명이 넘는 어른과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인천 제물포항에 모였습니다. 1903년 1월 13일, 고국을 떠난 지 20여일만에 이들은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습니다.
1903년부터 1905년, 일제에 의해 해외 이민이 중단될 때까지 하와이에 온 이민 1세대는 7,200명이었는데, 대다수는 남성이었고 여성은 전체 9%에 불과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남성들은 가정을 꾸려 정착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사진 혼인 중매자'를 통해 한국에서 신붓감을 구했고, 1910년부터 1924년까지, 하와이에는 '사진신부'의 물결이 이어져 약 700명의 한국 여성들이 더 나은 삶을 찾아 왔습니다.
*사진신부: 서로의 사진만을 바탕으로 농장 노동자들과 결혼하기 위해 고국에서 전 세계로 이주한 젊은 동아시아 여성들
2. 1900년대 당시 조선의 상황은 어땠나요?
① 1905년: 을사늑약에 의한 대한민국 외교권 박탈
② 1907년: 고종 강제 양위
③ 1910년: 경술국치
3.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은 어떻게 한국의 독립에 기여했습니까?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변호를 위해 재판 경비를 모아 보냈습니다.
*안중근: 한일강제병합의 선봉에 섰던 일본 정치인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혐의로 일본 당국에 의해 투옥되고 그 후 처형됨
또한 그들은 사탕수수밭 하루 일당 중 일부를 기부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세계 곳곳에서 조국 광복을 위해 애쓰던 이들에게 전해졌습니다. 특히 상당수는 상하이 임시정부에 닿아 애국지사의 의거로 이어졌습니다.
1907년, 하와이 곳곳에 흩어져있던 여성 단체들은 "대한부인구제회"라는 통합된 여성 조직을 결성했습니다. 그들은 포스터와 한국 음식을 팔고 공연 입장료를 거둬 독립운동기금을 모았습니다. 대한부인구제회가 독립을 위해 마련한 기금은 기록에 남은 것만도 약 20만 달러, 지금의 화폐 가치로 무려 44억원에 이릅니다. 독립 후에도 여성단체들의 활동은 1970년대까지 이어져 고국에 어려움이 닥칠 때면 십시일반 쌈짓돈을 모아 기부금을 보냈습니다.
4.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은 자신들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영속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습니까?
한인 이민자들은 자녀들을 교육하는데 헌신했습니다. 하와이 이민자들의 첫 학교는 이민 3년만인 19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민자들은 그 후 십시일반 돈을 모아 한글학교를 세워 자녀들의 모국어 교육에도 힘을 쏟았습니다.
토론 주제
-
만약 여러분이 농장의 가혹한 노동 환경 속에서 뜨거운 태양 아래 하루 12시간, 일주일 내내 일하여 돈을 모았다면, 이 돈을 모국의 독립과 같은 대의를 위해 기부할 수 있었을까요? 여러분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
어떤 요인들이 한인 이민자들로 하여금 하와이로 이주할 결심을 하게 했을까요? 당시 한국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고, 그들이 하와이에서 겪을 것으로 예상했던 어려움과 새로운 삶에서 찾으려 했던 상황에 대해 생각을 나누어 보세요.
-
쇠퇴하는 나라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고려할 때, 어떤 요인들이 사진신부들로 하여금 사진 한 장에 의탁하여 하와이로 이주 결정을 내리게 했을까요? 제한된 경제적 기회, 여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 그리고 모국에서의 성 역할이 이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을지 생각해보세요.
-
1세대 한인 이민자들이 하와이에서 힘겹고 고된 삶을 견딜 수 있게 해준 힘과 회복력의 근원은 무엇이었을까요? 더 나은 삶을 향한 의지, 사회적 연대, 지역 사회의 지원 체계, 그리고 개인의 적응력 등 여러 측면이 있었겠지요. 이러한 요인들이 새롭고 어려운 환경에 적응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어떻게 기여했을까요?
-
외국에서 이민자로 살고 있는 동안 조국이 다른 나라에 의해 식민지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여러분이라면 어떤 감정을 느꼈을까요? 상실감, 조국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에 대한 걱정, 그리고 무력감이나 좌절감 등 여러분이 받을 수 있었던 정서적, 심리적 영향을 생각해 보세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관람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파친코 (2022)
제작 허수진

파친코 (2017)
저자 이민진

1900년대 초부터 1980년대까지 4대에 걸친 한국인 가족의 삶을 그린 이야기로, 가난한 어촌 소녀 선자가 일본으로 건너가 차별과 역경 속에서도 살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정체성, 희생, 이민자 경험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