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모든 것을 이기는 사랑의 힘

작가 데이지 양

"사랑의 힘은 무한하지요.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꿈을 향해 정진하세요. 그러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을 거예요."

학습 목표

데이지 양 작가의 이야기를 통해 사랑과 회복력의 지속적인 힘이 어떻게 한 가정 내에서 세대를 넘어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합니다. 가족의 사랑이 세대 간에 어떻게 전해지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를 더 넓은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요약

<무지개 나라의 유산> 시즌 피날레는 하와이에서 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시작됩니다.

이진영 감독은 120년 전 조상들의 발자취를 되짚어보기 위해 인천으로 떠납니다. 인천 한국이민사박물관에서 만난 데이지 양 전 고려대 교수이자 작가가 1900년대 초반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던 조부모님과 부모님에게서 물려받은 지혜를 전합니다.

데이지 양 (Daisy Yang)은 누구인가

데이지 양은 전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객원부교수입니다. 그녀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썼고, 남편인 양성철 전 주미대사와 함께 2018년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 거액의 기부 약정을 체결했습니다. 

 

그녀의 조부모님들은 1904년 함흥을 떠나 하와이로 이주한 1세대 이민자들이었습니다. 데이지 양은 함경도에서 태어나 하와이에서 자랐습니다.

역사적 배경

1. 한국 이민사에서 인천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

인천, 그중에서도 제물포항은 우리나라에서 서양 문물의 세레를 가장 먼저 받은 곳입니다. 하와이 이민사 나아가 미주 이민사의 시작점이었습니다. 하와이라는 낯설고도 먼 땅을 향해 떠난 이들은 총 121명으로 이중 86명은 제물포와 부평, 강화 등 지금의 인천 출신이었습니다.

작은 포구 도시에 지나지 않던 인천은 한 세기 만에 세계적인 국제도시로 부상했습니다. 동북아권의 허브 공항인 인천국제공항, 1급수 바닷물이 흐르는 도심 속 공원인 송도센트럴파크,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차이나타운도 인천의 자랑입니다.

 

이런 특별한 인연을 계기로 인천시와 호놀룰루시는 미주 한인 이민 100주년을 맞아 자매도시 결연을 체결했습니다.

 

2008년, 한국이민사박물관이 인천에 문을 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시대별 이민사를 살펴볼 수 있는 이 박물관에서는 하와이는 물론이고 미국 본토와 중국, 러시아 등지로도 뻗어나간 한인 디아스포라의 발자취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 인하대학교는 어떻게 설립되었습니까?


인하대학교는 인천을 대표하는 명문 사학입니다. ‘인하’라는 이름은 인천의 ‘인’ 그리고 하와이의 ‘하’를 더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승만 박사가 1900년대 초반 하와이에 설립하고 운영했던 한인기독학원 부지를 처분한 돈과 하와이 교민들의 성금에 인천시와 민간 기부금이 더해져 1954년 인하공과대학이 설립되었습니다.   

3.  한인 이민의 시작에 종교는 어떤 역할을 했습니까?

 

호러스 알렌과 조지 헤버 존스와 같은 선교사들이 이들을 모집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많은 1세대 한인 이민자들은 기독교인이었습니다. 배에 탑승한 최초의 102명의 이민자들 중 절반 이상이 한국 역사상 가장 오래된 감리교인 내리감리교회 출신이었습니다. 이 교회의 존스 목사는 여러 신자들에게 하와이로 이주할 것을 독려했고, 하와이 감리교 선교회는 하와이로 이민온 한인 이민자들을 도왔습니다.

1세대 이민자들은 호놀룰루에 최초의 한국 감리교회를 세웠습니다. 이 교회는 하와이에서 언어와 문화적 장벽으로 인해 고립된 삶을 살고 있던 한인 이민자들에게 문화적, 종교적 활동을 통해 위안을 주었습니다.

토론 주제

  • 종교적 신념은 사람의 미래 결정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종교는 개인의 진로, 가치관, 이민과 같은 중요한 선택에 얼마나 강한 동기 부여가 될까요?

  • 데이지 양은 1세대 한인 이민자들이 오늘날 K-문화 확산의 선구자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동의하나요? 초기 이민자들이 한국 문화를 세계에 전파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 초기 한인 이민자들 중 일부는 농장 노동 계약이 끝난 후 하와이를 떠나 고국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들이 그런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은 무엇이었을까요?

  • 열악한 노동 환경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초기 이민자들이 자녀를 많이 낳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들의 결정에는 어떤 문화적, 정서적 배경이 있었을까요?

  • 백범 김구는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남에게 행복을 준다"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문화가 개인과 사회의 행복에 꼭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하나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도서

금강산의 보라부인 (2014)

저자 이정진

XL.jpg

금강산의 보라부인은 이정진 전 고려대 교수가 쓴 책으로,

병자호란 당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초능력과 마법을

사용한 여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문의 및 제휴

나우 프로덕션은 여러분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습니다. 

상영/강연 신청, 협업 제안, 또는 그저 나누고 싶은 이야기라도, 편히 해주세요.

이틀 내로 회신 드리겠습니다.

logo.png
location-pin.png
envelope.png

HAWAIʻI : Honolulu, Hawaiʻi, 96814

KOREA : 서초구 반포대로 5길 65 102-203

E-mailnowhawaiipr@gmail.com

Official site : therainbowwords.com

©2024 by By Now Production Films
WEBSITE DESIGN by M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