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그들의 발자취

사진으로 보는 121년 이민 역사

'할아버지에서 아버지로,어머니에서 딸에게로… 그들이 남긴 사랑의 흔적을 찾아가보려 합니다.'

학습 목표

1903년 한국을 떠나 하와이에 온 한국인 이민자들이 오늘날까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살펴보고, 한국계 바이올리니스트 이그나스 장의 연주를 통해 그분들의 희생을 기립니다. 과거 세대가 남기 사랑의 유산을 발판 삼아 우리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가야 할지 고민해봅니다.

요약

옴니버스 형식의 음악 영화 ‘하와이 연가’ 중 첫 번째 에피소드인 이 작품은 초기 한인 이민사를 세 시기로 나누어, 선조들의 헌신, 그리고 희망을 그려냅니다. 4K 현지 촬영, 실사, 컴퓨터 그래픽을 조합해 하와이에 남겨진 선조들의 발자취를 흥미롭게 풀어냅니다.

7교시의 뮤지션 - 이그나스 장

​바이올리니스트 & 음악 컨설턴트

K-1327-1.png

 

  • 하와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악장

  • 인디애나 음대 아티스트 학위 취득. 미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유명 오케스트라와 협연

  • 프랑스 태생 미주 한인 2세

“혼자일 때 보다 함께일 때, 훨씬 멋진 일을 할 수 있다는 걸 깨닫게 해준 프로젝트 였어요. 하와이의 이민사, 나아가 전 세계 이민자의 이야기는 만국공통이라는 걸 배웠지요. 그건 곧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는 사실을요.”

4a50f2_263e306fdf194a32857cea62b2287e4f~mv2.webp

한민족 이민 역사의 시작 

하와이에서 시작된 미주 이민 역사를 크게 3개의 시기로 분류해보면, 첫번째는 1903년부터 1949년까지, 두번째는 1950년부터 1964년까지, 세번째는 그 이후 현대입니다.

그중 첫번째 시기는 1903년 노동자들이 하와이에 도착하며 시작되었습니다. 121명의 한인들이 인천 제물포항에 모여 긴 항해에 나섰고, 22일 후, 신체검사에서 탈락한 일부를 제외하고 102명만이 하와이에 도착해 한인 디아스포라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그들은 주로 타국에서 온 노동자들과 함께 농장에서 생활했습니다.

뒤이어 1910년부터 신랑감의 사진만 보고 결혼을 결심한 ‘사진신부’ 700여명이 하와이로 왔습니다. 1903년부터 1945년 한국이 독립할 때까지 하와이에 고립되어 산 한국인은 약 7,000명입니다.

역사적 배경

1.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은 농장근로계약이 만료된 후 어떻게 생활을 이어나갔나요?
 

인 노동자의 절반 이상은 캘리포니아 등 미국 본토로 이주해 농장 노동이나 세탁소, 네일 살롱 등 자영업에 종사했습니다. 일부는 하와이에 남았고, 가족 문제나 문화 적응의 어려움 등으로 한국으로 돌아가기도 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곡물 농업 노동은 사탕수수 농장보다 덜 힘들고 임금이 더 높아, 많은 이들이 본토 이주를 선택했습니다.

 

최초의 코리아타운은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지역에 세워졌습니다.

2.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후 한인 이민의 두번째 시기인 1945년부터 한인 이민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1945년 광복 이후 이민은 주로 국제결혼, 입양, 유학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어 1965년 미국 이민법 개정으로 3만명이 넘는 한국인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찾아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3.  현재 미국 내 한인 이민 인구는 몇명인가요?

 

오늘날 260만 명의 한인들이 미국에서 다른 이민자들과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비록 한국 이민자들의 1세대들은 언어와 문화 차이로 주류사회에 편입할 수 없었지만 부모 세대의 희생과 도전으로 그들의 자녀들은 사회의 당당한 리더로 성장했습니다. 현재, 정치권에서도 한인들의 입지가 넓어지고 있으며 한국 문화는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토론 주제

  • 한인들은 처음 코리아타운을 설립했을 때 어떤 마음이었을까요? 그리고 이는 훗날 한인 공동체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 조상의 땅을 떠난다는 정신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이민자들이 고국을 떠나기로 한 선택을 한 이유는 무엇이 있었을까요?

  • 외국에서 주류 사회에 속할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달았을 때, 그들은 어떤 심정을 느꼈을까요?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요?

  • 1세대 이민자들이 새로운 삶의 어려움을 견디며 버틸 수 있었던 가장 큰 희망과 힘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요?

  • 일제강점기 한인 1세대 이민자들이 한국 노래를 부르게 된 배경과 의미는 무엇일까요?

관련 영화 및 도서 추천

영화

동주 (2016)

감독 이준익

hXTDcPX7LOm4I7R6g1XqA3LpudUBI29zV2w-v5O0zX0RsTD4ap1RpoAmb4NVfoiW1dVQ7yOmxjRMdznOAupa_A.web

시인 윤동주와 그의 영원한 벗이자 사촌형이었던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 옥중에서 윤동주가 과거를 회상하는 부분을 교차적으로 구성하였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문의 및 제휴

나우 프로덕션은 여러분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습니다. 

상영/강연 신청, 협업 제안, 또는 그저 나누고 싶은 이야기라도, 편히 해주세요.

이틀 내로 회신 드리겠습니다.

logo.png
location-pin.png
envelope.png

HAWAIʻI : Honolulu, Hawaiʻi, 96814

KOREA : 서초구 반포대로 5길 65 102-203

E-mailnowhawaiipr@gmail.com

Official site : therainbowwords.com

©2024 by By Now Production Films
WEBSITE DESIGN by MH

bottom of page